JAVA로 코딩테스트 Level.1, Level.2 문제 풀기 7주 차
2022년 5월 23일 월요일 / 신고 결과 받기
📢 문제 설명
신입사원 무지는 게시판 불량 이용자를 신고하고 처리 결과를 메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
무지가 개발하려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 유저는 한 번에 한 명의 유저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신고 횟수에 제한은 없습니다. 서로 다른 유저를 계속해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한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유저에 대한 신고 횟수는 1회로 처리됩니다.
- k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게시판 이용이 정지되며, 해당 유저를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정지 사실을 메일로 발송합니다.
- 유저가 신고한 모든 내용을 취합하여 마지막에 한꺼번에 게시판 이용 정지를 시키면서 정지 메일을 발송합니다.
다음은 전체 유저 목록이 ["muzi", "frodo", "apeach", "neo"]이고, k = 2(즉, 2번 이상 신고당하면 이용 정지)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유저 ID 유저가 신고한 ID 설명 "muzi" "frodo" "muzi"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frodo" "apeach"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frodo" "neo" "frodo"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muzi" "neo" "muzi"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muzi" "apeach"가 "muzi"를 신고했습니다. 각 유저별로 신고당한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 신고당한 횟수 "muzi" 1 "frodo" 2 "apeach" 0 "neo" 2 위 예시에서는 2번 이상 신고당한 "frodo"와 "neo"의 게시판 이용이 정지됩니다. 이때, 각 유저별로 신고한 아이디와 정지된 아이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 유저가 신고한 ID 정지된 ID "muzi" ["frodo", "neo"] ["frodo", "neo"] "frodo" ["neo"] ["neo"] "apeach" ["muzi", "frodo"] ["frodo"] "neo" 없음 없음 따라서 "muzi"는 처리 결과 메일을 2회, "frodo"와 "apeach"는 각각 처리 결과 메일을 1회 받게 됩니다.
이용자의 ID가 담긴 문자열 배열 id_list, 각 이용자가 신고한 이용자의 ID 정보가 담긴 문자열 배열 report, 정지 기준이 되는 신고 횟수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유저별로 처리 결과 메일을 받은 횟수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 조건
-
- 2 ≤ id_list의 길이 ≤ 1,000
- 1 ≤ id_list의 원소 길이 ≤ 10
- id_list의 원소는 이용자의 id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id_list에는 같은 아이디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2 ≤ id_list의 길이 ≤ 1,000
-
- 1 ≤ report의 길이 ≤ 200,000
- 3 ≤ report의 원소 길이 ≤ 21
- report의 원소는 "이용자id 신고한id"형태의 문자열입니다.
- 예를 들어 "muzi frodo"의 경우 "muzi"가 "frodo"를 신고했다는 의미입니다.
- id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이용자id와 신고한id는 공백(스페이스)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자기 자신을 신고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1 ≤ report의 길이 ≤ 200,000
-
- 1 ≤ k ≤ 200, k는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은 id_list에 담긴 id 순서대로 각 유저가 받은 결과 메일 수를 담으면 됩니다.
🧐 입출력 예
id_list | report | k | result |
["muzi", "frodo", "apeach", "neo"] | ["muzi frodo","apeach frodo","frodo neo","muzi neo","apeach muzi"] | 2 | [2,1,1,0] |
["con", "ryan"] | ["ryan con", "ryan con", "ryan con", "ryan con"] | 3 | [0,0] |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ryan"이 "con"을 4번 신고했으나, 주어진 조건에 따라 한 유저가 같은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한 경우는 신고 횟수 1회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con"은 1회 신고당했습니다. 3번 이상 신고당한 이용자는 없으며, "con"과 "ryan"은 결과 메일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0, 0]을 return 합니다.
💡 문제 풀이 및 주석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id_list, String[] report, int k) {
int[] answer = new int[id_list.length];
HashMap<String,Integer> cnt = new HashMap<>();
HashMap<String,Integer> idx = new HashMap<>();
// 중복문제 해결을 위해 신고 정렬
Arrays.sort(report);
String before = "";
// 각 유저에 대해 신고회수와 인덱스 초기화
for(int i=0;i<id_list.length;i++) {
cnt.put(id_list[i],0);
idx.put(id_list[i],i);
}
// 신고 회수 계산
for(String r : report){
if(before.equals(r)) continue; // 중복 신고 제외
before = r;
String[] re = r.split(" ");
cnt.put(re[1],cnt.get(re[1])+1);
}
before = "";
// 메일 회수 계산
for(String r : report){
if(before.equals(r)) continue; // 중복 신고 제외
before = r;
String[] re = r.split(" ");
if(cnt.get(re[1]) >= k) answer[idx.get(re[0])] += 1;
}
return answer;
}
}
2022년 5월 24일 화요일 / 이상한 문자 만들기
📢 문제 설명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 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 제한 조건
- 문자열 전체의 짝/홀수 인덱스가 아니라, 단어(공백을 기준) 별로 짝/홀수 인덱스를 판단해야 합니다.
-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인덱스로 보아 짝수번째 알파벳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 입출력 예
s | return |
"try hello world" | "TrY HeLlO WoRlD" |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1
- "try hello world"는 세 단어 "try", "hello", "worl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문자를 대문자로, 홀수번째 문자를 소문자로 바꾸면 "TrY", "HeLlO", "WoRlD"입니다. 따라서 "TrY HeLlO WoRlD"를 리턴합니다.
💡 문제 풀이 및 주석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s) {
String answer = "";
// 단어의 몇 번째 문자인지
int c = -1;
// 문자열 전체를 훑어서 처리
for (int i=0; i<s.length(); i++) {
String _s = s.substring(i, i+1);
if (_s.equals(" ")) {
// 공백이면
c = -1;
} else {
// 문자이면
c++;
if (c%2==0) {
// 짝수 인덱스 대문자로
_s = _s.toUpperCase();
} else {
// 홀수 인덱스 소문자로
_s = _s.toLowerCase();
}
}
answer += _s;
}
return answer;
}
}
2022년 5월 25일 수요일 / 주식가격 (level.2)
📢 문제 설명
초 단위로 기록된 주식 가격이 담긴 배열 pr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기간은 몇 초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 제한 조건
- prices의 각 가격은 1 이상 1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prices의 길이는 2 이상 100,000 이하입니다.
🧐 입출력 예
prices | return |
[1, 2, 3, 2, 3] | [4, 3, 1, 1, 0] |
🖍️ 입출력 예 설명
- 1초 시점의 ₩1은 끝까지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2초 시점의 ₩2은 끝까지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3초 시점의 ₩3은 1초 뒤에 가격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1초간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봅니다.
- 4초 시점의 ₩2은 1초간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5초 시점의 ₩3은 0초간 가격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문제 풀이 및 주석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rices) {
// 결과 초기화
int[] answer = new int[prices.length];
//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기간 계산
for (int i=0; i<prices.length-1; i++) {
for (int j=i+1; j<prices.length; j++) {
answer[i]++;
// 가격이 떨어지진 경우 break;
if (prices[i]>prices[j]) break;
}
}
return answer;
}
}
2022년 5월 26일 목요일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 문제 설명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실제로 사용되는 로또 순위의 결정 방식과는 약간 다르지만, 이 문제에서는 지문에 명시된 대로 로또 순위를 결정하도록 합니다. ↩
순위 당첨 내용 1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2 5개 번호가 일치 3 4개 번호가 일치 4 3개 번호가 일치 5 2개 번호가 일치 6(낙첨) 그 외 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당첨 번호 발표 후,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습니다.
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 6개가 44, 1, 0, 0, 31 25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당첨 번호 6개가 31, 10, 45, 1, 6, 19라면,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한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당첨 번호 31 10 45 1 6 19 결과 최고 순위 번호 31 0→10 44 1 0→6 25 4개 번호 일치, 3등 최저 순위 번호 31 0→11 44 1 0→7 25 2개 번호 일치, 5등
- 순서와 상관없이, 구매한 로또에 당첨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있으면 맞힌 걸로 인정됩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0, 6이라고 가정하면 3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3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2등 이상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1, 7이라고 가정하면 5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5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6등(낙첨)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 조건
- lottos는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 lottos의 모든 원소는 0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 0은 알아볼 수 없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 0을 제외한 다른 숫자들은 lottos에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 lotto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win_nums은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 win_nums의 모든 원소는 1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 win_nums에는 같은 숫자가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 win_num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입출력 예
lottos | win_nums | result |
[44, 1, 0, 0, 31, 25] | [31, 10, 45, 1, 6, 19] | [3, 5] |
[0, 0, 0, 0, 0, 0] | [38, 19, 20, 40, 15, 25] | [1, 6] |
[45, 4, 35, 20, 3, 9] | [20, 9, 3, 45, 4, 35] | [1, 1] |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알아볼 수 없는 번호들이 아래와 같았다면, 1등과 6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당첨 번호 | 38 | 19 | 20 | 40 | 15 | 25 | 결과 |
최고 순위 번호 | 0→38 | 0→19 | 0→20 | 0→40 | 0→15 | 0→25 | 6개 번호 일치, 1등 |
최저 순위 번호 | 0→21 | 0→22 | 0→23 | 0→24 | 0→26 | 0→27 | 0개 번호 일치, 6등 |
입출력 예 #3
- 민우가 구매한 로또의 번호와 당첨 번호가 모두 일치하므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는 모두 1등입니다.
💡 문제 풀이 및 주석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eam.IntStream;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lottos, int[] win_nums) {
int[] answer = new int[2];
// 0 개수
int zero = 0;
// 일치하는 개수
int ok = 0;
// 0 개수와 일치하는 개수 계산
for (int i=0; i<6; i++) {
final int lotnum = lottos[i];
if (lottos[i]==0) {
// 0 개수 추가
zero++;
} else {
// 일치하는 개수 추가
if (IntStream.of(win_nums).anyMatch(x -> x == lotnum)) ok++;
}
}
// 순위 계산
answer[0] = order(ok+zero);
answer[1] = order(ok);
return answer;
}
// 일치하는 개수에 따른 순위 리턴
private int order(int ok) {
if (ok>1)
return 7-ok;
else
return 6;
}
}
2022년 5월 27일 금요일 / 올바른 괄호 (level.2)
📢 문제 설명
괄호가 바르게 짝지어졌다는 것은 '(' 문자로 열렸으면 반드시 짝지어서 ')' 문자로 닫혀야 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 또는 "(())()"는 올바른 괄호입니다.
")()(" 또는 "(()("는 올바르지 않은 괄호입니다.
'(' 또는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문자열 s가 올바른 괄호이면 true를 return 하고, 올바르지 않은 괄호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문자열 s의 길이 : 100,000 이하의 자연수
- 문자열 s는 '(' 또는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입출력 예
s | answer |
"()()" | true |
"(())()" | true |
")()(" | false |
"(()(" | false |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2,3,4
-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 문제 풀이 및 주석
class Solution {
boolean solution(String s) {
boolean answer = true;
// 여는 괄호 숫자
int g1 = 0;
// 닫는 괄호 숫자
int g2 = 0;
// 계산
for (int i=0; i<s.length(); i++) {
String c = s.substring(i, i+1);
if (c.equals("(")) {
g1++;
} else {
if (g2>=g1) return false;
g2++;
}
}
if (g2!=g1) return false;
return answer;
}
}
JAVA로 코딩테스트 Level.1, Level.2 문제 풀기 7주 차 완료!!!!!!!